맨위로가기

주 희왕

"오늘의AI위키"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.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
1. 개요

주 희왕은 주나라의 왕으로, 주 장왕의 아들이다. 기원전 682년, 장왕 사후 왕위에 올랐으며, 문무 제도를 변경하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여 비판을 받았다. 진 무공을 진나라 군주로 봉하고, 괵공을 파견하여 곡옥의 무공을 진나라 제후로 봉했다. 기원전 677년에 사망하였고, 아들인 주 혜왕이 뒤를 이었다.
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
  • 기원전 7세기 중국의 군주 - 제 희공
    제 희공은 제나라의 제후로서 주변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, 송나라와 위나라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며 북융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으나, 말년에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하다가 재위 33년 만에 사망했다.
  • 기원전 7세기 중국의 군주 - 제 환공
    제 환공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제후이자 춘추오패의 첫 번째 패자로, 관중을 등용하여 제나라를 강성하게 만들고 초나라의 남진을 저지하는 등 춘추 시대 초반 질서 확립에 기여했으나, 관중 사후 정치적 혼란과 후계자 다툼으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여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.
  • 주나라의 왕 - 주 무왕
    주 무왕은 서주를 건국하고 상나라를 멸망시켜 천자가 된 왕으로, 강태공, 주공단 등 인재를 등용하고 은나라 유민을 포용하는 정책을 펼쳐 주나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사후 성왕으로 추앙받고 도교에서는 영보천존의 화신으로 여겨진다.
  • 주나라의 왕 - 주 혜왕
    주 혜왕은 동주 시대 제17대 왕으로, 자퇴의 난으로 쫓겨났다가 복위했으며, 제 환공에게 패자의 지위를 하사하고 후처의 아들을 총애하여 태자의 지위를 불안하게 만들었다.
  • 기원전 7세기 사망 - 헤시오도스
    헤시오도스는 기원전 8세기경 고대 그리스 시인으로, 『신통기』와 『일과 날』을 통해 신화, 우주론, 농업, 윤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당대 사회상과 가치관을 반영했고, 농부이자 방랑 음유시인으로서의 삶과 경험을 작품에 녹여내 정의와 노동의 가치를 성찰하여 서구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.
  • 기원전 7세기 사망 - 제 희공
    제 희공은 제나라의 제후로서 주변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, 송나라와 위나라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며 북융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으나, 말년에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하다가 재위 33년 만에 사망했다.
주 희왕
기본 정보
왕위 계승주나라의 왕
통치 기간기원전 681년–기원전 677년
이전 통치자주 장왕
후임 통치자주 혜왕
전체 이름성: 희 (姬)
이름호제 (胡齊)
사망 일자기원전 677년
시호희왕 (僖王 또는 釐王)
아버지주 장왕
자녀주 혜왕
왕숙문공
가문
왕조주 (동주)

2. 생애

장왕의 장자로 태어났으나 총애를 받지 못하고, 이복동생인 王子頽|왕자 퇴중국어와 대립하였다.[5] 기원전 679년, 진 무공이 진을 멸망시킨 후, 진의 보기를 희왕에게 헌상했고 희왕은 그를 진국 군주로 봉해 제후의 반열에 올렸다.

2. 1. 초기 생애

장왕의 장자로 태어났으나 총애를 받지 못하였다.[5] 이복동생인 王子頽|왕자 퇴중국어와 대립하였다.

2. 2. 즉위 후

기원전 682년, 장왕이 사망하자, 희왕은 뒤를 이어 주나라 왕으로 즉위하였다.[5]

희왕은 문무 제도를 변경하고, 검은색과 노란색의 화려한 장식을 만들고, 궁실을 광대하게 만들었으며, 수레와 말을 사치스럽게 만들어, 공자에게 비난받았다고 전해진다.[6]

기원전 678년, 희왕은 괵공(虢公)을 파견하여 곡옥(曲沃)의 무공에게 책명하고, 진나라 제후로 봉했다.[7]

기원전 677년, 희왕은 사망하고, 아들인 희랑(혜왕)이 뒤를 이었다.[5]

3. 가족

주 희왕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다. 장남은 태자 낭으로, 훗날 주 혜왕이 되었다. 차남은 태자 호로, 왕숙 문공이라고 불렸다.[1]

3. 1. 자녀


  • 태자 낭(王子閬): 주 혜왕. 기원전 676년부터 기원전 652년까지 재위하였다.
  • 태자 호(王子虎): 왕숙 문공. 기원전 624년에 사망하였다.

4. 가계

釐王|희왕중국어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.

관계이름출생-사망
아버지주 장왕기원전 682년 사망
조부주 환왕기원전 697년 사망
증조부섭보?


참조

[1]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
[2] 서적 Trình Doãn Thắng, Ngô Trâu Cương, Thái Thành (1998), Cố sự Quỳnh Lâm, NXB Thanh Hoá
[3] 웹사이트 ZHOU GENEALOGY https://sites.google[...]
[4] 서적 『[[史記]]』周本紀による。『[[春秋左伝正義]]』昭公26年所引『[[世本]]』によると、僖王。
[5] 서적 『[[史記]]』周本紀
[6] 서적 『[[孔子家語]]』六本篇
[7] 서적 『[[春秋左氏伝]]』荘公16年


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